1. "기능성 위장장애"란?
- 소화성궤양이나 염증 등의 구조이상이나 생화학적 병변이 없이 3개월 이상 위장관 증상이 만성 혹은 재발성으로 나타나는 것
- 식도, 위, 십이지장, 소장, 대장, 담관 등의 기능성 장애를 모두 포함한다.
- 상부 → 기능성 소화불량증 : 상복부통증, 소식 후 생기는 포만감, 식후 더부룩함, 구역, 구토 등
- 하부 → 과민성 대장증후군 : 복통, 배변횟수나 대변의 굳기 변화, 잔변감, 점액변 등
2. 종류별 허가사항 및 특징

1) 크리맥(돔페리돈)
- 돔페리돈 : 말초에 있는 도파민 수용체(D2)의 선택적 길항제로서 특히 소화기관 평활근의 도파민 수용체에 작용하여 식도의 하부식도 조임근 압력을 증가시키고 위내용물 배출을 촉진
- CTZ(chemoreceptor trigger zone)의 도파민 수용체를 차단하여 구토 억제
오심, 구토의 증상을 완화시키며 기능성 소화불량, 당뇨병성 합병증으로 인한 위 마비에도 효과적.
숙취 뿐만 아니라 다양한 원인들로 오심 및 구토를 호소하는 환자의 경우 알약과 물을 먹는 것이 부담될 수 있으므로 이때 약의 쓴맛을 최소화하며 복용하기 쉬운 액상형태의 크리맥이 선호된다.
또한 '조금만 먹어도 배가 불러요' 등 운동장애형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게 소화효소제와 같이 권해드리면 빠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.
<부작용>
- 유즙분비 촉진 : 도파민은 프로락틴의 합성과 분비를 저해하는데 도파민 수용체가 차단되면 프로락틴의 수치를 높여 유즙 분비가 촉진된다.
- 이러한 부작용으로 수유부에게 유즙분비촉진 목적으로 처방되기도 했으나 심전도 연장 위험요소가 있어 주의해야 한다.
2) 트리싹정 200mg(트리메부틴말레산염)
- 트리메부틴 : 위장관 운동 조절제. 위장관 운동이 과도하거나 저하된상태를 정상화시키는 약물
- 돔페리돈과는 달리 위장관 내부 신경층에 존재하는 엔케팔린 수용체에 작용하여 위장관 운동을 조절.
- 엔케팔린(enkephaline) : 내인성 아편유사제(opioid)의 일종으로 중추신경계에서는 고통을 완화하는 작용, 소화관에서는 운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. 엔케팔린 수용체에는 μ(뮤), δ(델타), κ(카파) 수용체가 있다.
트리메부틴은 필요에 따라 이 세 가지 수용체에 다르게 결합한다. 이러한 작용은 여러 소화기능 장애에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. 대표적으로 설사형, 변비형 과민성 대장증후군 뿐만 아니라 설사와 변비가 복합적으로 오는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에게 잘 맞는 약물이다. 돔페리돈과 마찬가지로 운동장애형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뿐만 아니라 위장경련 환자에게도 효과적일 수 있다.
<부작용>
- 약물상호작용이 거의 없어 돔페리돈보다 쉽게 투약될 수 있는 장점!
- 아주 드물게 졸음, 현기증이 생길 수 있음
3. 같이 복용할 수 있는 제품
- 구역과 구토를 호소할 시 반하사심탕과 함께 권할 수 있다.
- 위장 경련에는 스코폴라민, 디시클로민, 파파베린 등과 같은 진경제와 같이 복용하도록 한다.
- 임산부의 입덧으로 인한 구역, 구토의 경우 약물보다는 비타민B6나 따뜻한 생강차를 자주 섭취하도록 권한다.
- 변비환자에게는 정도에 따라 팽윤성하제(차전자피)나 대변연화제(도큐세이트)를 병용할 수 있고 반대로 설사 환자에게는 지사제(로페라미드)를 함께 투약할 수 있다.
해당 본문은 약사공론 사이트 內 약국약학연구회에서 연재한 글을 발췌한 것입니다.
↑↑↑ 자세한 내용은 해당 링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↑↑↑
'선택가이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숙취해독,간질환 보조치료제] 헤파멜즈로라액(라라올라),헤파토스(헤포스시럽) (0) | 2024.02.08 |
---|---|
밀크시슬(실리마린) VS 종합비타민제 : 실리웰골드, 비맥스메타 (0) | 2024.02.07 |
속쓰림에 짜먹는 약 비교(겔포스,윌로겔,트리겔 등) (0) | 2022.12.18 |
지사제 종류 비교(포타겔, 로페라미드, 알디스탑) (0) | 2022.12.17 |
1도,2도 화상연고 비교(아즈렌, 비판텐, 미보, 비아핀 등) (0) | 2022.12.16 |